
지하공간연구소

현장점검
“현장점검”은 토목 공사 현장에서 공사의 품질, 안전, 설계 준수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는 공사의 성공적인 완수와 사고 방지를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수행됩니다.
현장점검의 목적
• 품질 관리: 설계도 및 규격에 맞는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
• 안전 확보: 작업 환경과 작업자 안전 점검
• 공사 진척도 확인: 공사 일정에 맞게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
• 문제 예방 및 해결: 부실 공사, 환경 문제, 설계와 다른 시공 등 문제를 조기 발견 및 해결
점검 주요 대상
기초 공사 | • 기초 구조물(말뚝, 기초판, 흙막이 등)의 적정 시공 여부
• 지반 상태 및 지반개량 공법의 적합성 점검 |
토공 작업 | • 절토 및 성토 작업의 적정성 확인
• 압밀, 다짐도 검사 및 슬로프 안정성 확인 |
구조물 시공 | • 교량, 터널, 댐, 도로 등의 구조물 시공 상태 점검
• 철근 배근, 콘크리트 타설, 거푸집 설치의 적정성 확인 |
배수 및 지하수관리 | • 배수 시스템의 설계 준수 여부.
• 지하수 처리 및 지하수위 유지 상태 점검 |
환경 관리 | • 현장 폐기물 처리와 환경 보호 조치 점검
• 비산먼지, 소음, 진동 등 규제 준수 여부 확인 |
안전 점검 | • 작업자 안전장비 착용 여부
• 작업 환경(전기, 가스, 중장비)의 안전성 점검 • 비상 대피로, 안전 표지판 등 비상 대비 시스템 확인 |
주요 체크리스트
• 설계 준수 여부 : 설계 도면, 시방서와의 일치성
• 재료 품질 : 자재의 품질 인증서 및 규격 적합성
• 현장 안전 : 안전수칙 준수, 위험 요소 제거
• 작업 환경 : 작업 장소의 청결, 배수 상태, 작업자 접근성
• 공사 일정 : 공정표와 실제 공사 진척도의 일치 여부
현장점검의 효과
• 부실 공사 방지 및 품질 확보
• 안전사고 예방
• 공사비 및 공기 관리 최적화
• 발주처 및 감독 기관의 신뢰 확보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현장점검은 공사의 성공과 더불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