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감리 분야

지하공간이엔지는 시공성과 경제성을 기반으로 하여 지하를 안전하게 계획 수립하고 이를 현장에서 정확히 구현하도록 관리.감독하고 있습니다.

사면안정성 검토란?

사면 안정성 검토는 토목 공학에서 중요한 과정으로, 토지나 암반의 경사면(사면)이 외부 힘(중력, 수압, 지진 등)에 의해 미끄러지거나 붕괴되지 않도록 안정성을 평가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이는 주로 도로, 철도, 댐, 터널, 건축부지 등 다양한 인프라 프로젝트에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행됩니다.

사면안정성 검토의 목적

• 붕괴 위험 평가: 자연사면(산사태) 및 인공사면(절토, 성토 사면)의 붕괴 가능성을 예측합니다.

• 안정 설계: 사면이 요구되는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절한 보강 방법을 설계합니다.

• 환경 보호: 사면 붕괴로 인한 생태계 파괴 및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 경제적 설계: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비용 효율적인 설계 방안을 마련합니다.

사면안정성 검토의

주요 과정

현장 조사 및 자료 수집 • 지형, 지질, 토질, 암질, 지하수 상태 등을 조사

• 과거의 붕괴 사례, 강우량, 지진 위험도와 같은 환경 정보를 수집

사면의 안정성 분석 • 한계 평형 분석(Limit Equilibrium Analysis): 대표적인 전통적 방법으로, 사면이 붕괴

직전 상태에서 힘의 균형을 계산

– 모어-쿨롱(Mohr-Coulomb) 항복 기준을 주로 사용

– 주요 분석 기법: 원호활동법(Bishop 법, Janbu 법), 평면활동법 등

• 수치 해석(Numerical Analysis): 컴퓨터를 활용한 정밀 분석으로, 유한요소법(FEM)

이나 유한차분법(FDM)을 사용

• 안정성 계수(Factor of Safety, FS): 사면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FS = 저항력 /

활력(붕괴를 일으키는 힘)으로 정의

– 일반적으로 FS > 1.3이면 안정하다고 간주

보강 설계 • 사면 형상 조정 : 경사 완화, 계단식 사면 등으로 조정

• 보강 공법 : 옹벽, 네일링(Nailing), 앵커링(Anchoring), 방수층, 식생 공법 등

시공 및 사후 관리 • 설계된 보강 방법에 따라 시공을 실시

• 시공 후 사면 안정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추가 위험을 예방

사면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지질 및 토질 조건 : 토양의 종류, 암석의 강도, 풍화 정도

• 지하수 : 지하수위 상승은 사면 안정성을 저하시킴

• 외부 하중 : 건물, 교량, 차량 등 추가 하중

• 기상 조건 : 강우량, 융설, 기온 변화

• 지진 : 지진력에 의한 사면의 동적 안정성

사면안정성 검토의 중요성

사면 붕괴는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전 검토와 보강 설계가 필수적입니다. 안정성 검토는 단순히 안전을 보장하는 것을 넘어, 경제성과 환경 보호를 고려한 최적의 해결책을 마련하는 데 기여합니다.

주요실적

부산 프리미엄아울렛 Phase 2.0 사면안정성 검토

발주처: (주)신세계사이먼

기간 : 2022.05. ~ 2022.06.

삼보연립 주변 옹벽 및 사면 안정성검토

발주처 : 부산광역시 동구

기간 : 2022.12. ~ 2023.02.

사하오성맨션 소규모재건축정비사업조합 옹벽

안전진단 및 사면안정성 검토

발주처 : 사하오성맨션 소규모재건축정비사업조합

기간 : 2024.03. ~ 202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