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하공간연구소

안전진단의 목적
“안전진단”은 토목 구조물(교량, 터널, 댐, 도로, 철도 등)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는 종합적인 점검 및 분석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은 구조물의 상태를 파악하고,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조기에 발견하며, 필요 시 보수·보강 계획을 수립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1.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
구조물의 손상, 변형, 열화 상태 등을 평가하여 붕괴나 사고를 예방합니다.
2. 수명 연장
구조물의 현재 상태를 분석해 필요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사용 수명을 연장합니다.
3. 기능성 유지
구조물이 본래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점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4. 경제성 및 효율성 확보
조기 진단을 통해 대규모 보수나 재건축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주요 절차
예비조사 | • 구조물의 설계도 및 이전 점검 자료 검토
• 현장 조건 및 환경 조사 |
현장조사 | • 시각적 점검 : 균열, 침하, 변형 등의 외부 손상 확인
• 비파괴 검사 : 초음파, 레이더, 적외선 등 활용 • 정밀 검사 : 샘플 채취 후 실험실 분석 |
데이터 분석 | •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적 안전성, 재료 열화 상태 등을 정량적으로 평가 |
진단 평가 | • 구조물의 현재 상태 등급을 분류(예: 양호, 보통, 불량, 매우 불량)
• 위험 요소 및 개선이 필요한 부분 식별 |
보수.보강 계획 수립 | • 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구조물 보수·보강 방법 및 일정 제안 |
적용 분야
교량 | 하중 분산 및 지지 상태 점검, 균열 및 노후화 상태 평가 |
터널 | 내구성 및 배수 상태 점검, 내벽 균열이나 박리 여부 확인 |
댐 및 저수지 | 누수, 침하, 변형 상태 점검 |
도로 및 철도 | 포장 손상, 침하, 배수 시설 상태 점검 |